📌 목차
연봉과 실수령액 차이는 왜 발생할까?
연봉을 기준으로 월급을 예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받는 금액은 4대 보험과 세금 공제로 인해 차이가 납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적은 월급을 받고 놀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항목이 연봉에서 공제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4대 보험 공제 항목과 비율 정리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됩니다. 근로자가 부담하는 항목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이며, 산재보험은 회사가 전액 부담합니다.
- ✅ 국민연금: 월급의 4.5%
-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추가 부담
- ✅ 고용보험: 월급의 0.9%
예를 들어, 월급이 400만 원이라면 4대 보험료로 약 38만 원이 공제됩니다.
소득세와 주민세 계산 방법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올라갑니다. 주민세는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 ✅ 소득세율 예시
- 연 소득 1,200만 원 이하: 6%
- 연 소득 4,600만 원 이하: 15%
- 연 소득 8,800만 원 이하: 24%
예를 들어, 월급이 400만 원이면 소득세와 주민세로 약 15~20만 원이 공제됩니다.
실수령액 계산 공식 및 예시(매년 세금 계산은 바뀌는거 아시죠. 예시만)
4대 보험 공제 계산
소득세 및 주민세 계산
총 공제액 차감 후 실수령액 확인
예시: 연봉 5,000만 원의 실수령액 계산
- 4대 보험 공제
- 국민연금: 225만 원
- 건강보험: 177만 원
- 고용보험: 45만 원
- 총 공제액: 447만 원
- 소득세 및 주민세 공제
- 예상 소득세: 300만 원
- 주민세: 30만 원
- 총 세금 공제: 330만 원
실수령액 계산
5,000만 원 - (4대 보험 447만 원 + 세금 330만 원)
실제 수령액: 약 4,223만 원 (월 약 352만 원)
연봉별 예상 실지급액 예시 제공
- ✅ 연봉 3,000만 원 → 실수령액 약 2,600만 원 (월 217만 원)
- ✅ 연봉 5,000만 원 → 실수령액 약 4,223만 원 (월 352만 원)
- ✅ 연봉 7,000만 원 → 실수령액 약 5,660만 원 (월 471만 원)
자신의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 소득세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 월급 계산기 바로가기
절세 전략 및 세금 부담 줄이는 방법
- 연말정산 공제 항목을 적극 활용
- IRP(개인형 퇴직연금) 가입하여 절세 혜택 받기
- 부양가족 등록으로 추가 공제 받기
추가적인 세금 관련 정보 및 유용한 사이트 추천
-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 4대 보험 정보: www.4insure.or.kr
연봉을 확인할 때, 실제 수령액이 얼마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4대 보험과 세금 공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세요.
#연봉계산 #실수령액 #4대보험 #소득세 #주민세 #세금계산 #급여명세서 #월급공제 #절세방법 #세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