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봉] 생각 보다 작은 월급 보시고 놀라셨나요? | 세금 세율 공부하셔야 해요 | 4대보험 및 세금을 제한 실 지급 연봉 및 월 급여 계산 페이지로 확인해 보세요.





연봉과 실수령액 차이는 왜 발생할까?

연봉을 기준으로 월급을 예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받는 금액은 4대 보험과 세금 공제로 인해 차이가 납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적은 월급을 받고 놀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항목이 연봉에서 공제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4대 보험 공제 항목과 비율 정리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됩니다. 근로자가 부담하는 항목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이며, 산재보험은 회사가 전액 부담합니다.

  • ✅ 국민연금: 월급의 4.5%
  • ✅ 건강보험: 월급의 3.545%
  •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추가 부담
  • ✅ 고용보험: 월급의 0.9%

예를 들어, 월급이 400만 원이라면 4대 보험료로 약 38만 원이 공제됩니다.

소득세와 주민세 계산 방법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올라갑니다. 주민세는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 ✅ 소득세율 예시
  • 연 소득 1,200만 원 이하: 6%
  • 연 소득 4,600만 원 이하: 15%
  • 연 소득 8,800만 원 이하: 24%

예를 들어, 월급이 400만 원이면 소득세와 주민세로 약 15~20만 원이 공제됩니다.

실수령액 계산 공식 및 예시(매년 세금 계산은 바뀌는거 아시죠. 예시만)

4대 보험 공제 계산

소득세 및 주민세 계산

총 공제액 차감 후 실수령액 확인

예시: 연봉 5,000만 원의 실수령액 계산

  • 4대 보험 공제
  • 국민연금: 225만 원
  • 건강보험: 177만 원
  • 고용보험: 45만 원
  • 총 공제액: 447만 원
  • 소득세 및 주민세 공제
  • 예상 소득세: 300만 원
  • 주민세: 30만 원
  • 총 세금 공제: 330만 원

실수령액 계산

5,000만 원 - (4대 보험 447만 원 + 세금 330만 원)

실제 수령액: 약 4,223만 원 (월 약 352만 원)

연봉별 예상 실지급액 예시 제공

  • ✅ 연봉 3,000만 원 → 실수령액 약 2,600만 원 (월 217만 원)
  • ✅ 연봉 5,000만 원 → 실수령액 약 4,223만 원 (월 352만 원)
  • ✅ 연봉 7,000만 원 → 실수령액 약 5,660만 원 (월 471만 원)

자신의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 소득세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 월급 계산기 바로가기



절세 전략 및 세금 부담 줄이는 방법

  • 연말정산 공제 항목을 적극 활용
  • IRP(개인형 퇴직연금) 가입하여 절세 혜택 받기
  • 부양가족 등록으로 추가 공제 받기

추가적인 세금 관련 정보 및 유용한 사이트 추천



 

연봉을 확인할 때, 실제 수령액이 얼마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4대 보험과 세금 공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세요.

#연봉계산 #실수령액 #4대보험 #소득세 #주민세 #세금계산 #급여명세서 #월급공제 #절세방법 #세테크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