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가기전 한도계산 대략 DSR 3단계이면 1억 빌리려면 얼마까지 된다는거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 하면

DSR 3단계에서 1억 원 대출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DSR이란?


✅ 대략 요약

  • DSR 3단계란 총 부채의 연간 상환액이 연 소득의 40% 이하여야 대출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 즉, 연 소득이 5천만 원이면 연 2천만 원 이상을 갚아야 하는 대출은 불가합니다.
  • 대출의 종류(신용·전세·가계·주택담보)에 따라 적용 범위와 조건이 다릅니다.
  • 이자율, 대출 기간, 대출 종류에 따라 빌릴 수 있는 최대 금액이 달라집니다.

 

🔍 DSR 계산 쉽게 이해하기

DSR =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소득)] × 100

예: 연소득 5천만 원 → 연간 상환액이 2천만 원 넘으면 안 됨 (DSR 40%)

 

💡 신용대출일 때

  • 금리 6% / 5년 원리금 균등상환 기준
  • 1억 원 빌리면 연간 상환액 약 2,376만 원
  • 👉 연소득 약 6천만 원 이상이어야 1억 가능

💡 전세자금대출일 때

  • 전세대출은 일부 특례가 있었지만, 2024년 이후 규제가 강화
  • DSR 2단계 이상부터 대부분 전세대출 포함됨
  • 금리 4% / 2년 만기 일시상환 기준 → 1억 대출 시 연 이자 400만 원
  • DSR 40% 기준, 연소득 1천만 원 이상이면 가능

✅ 단, 전세대출은 대부분 일시상환이라 DSR에서 유리함

💡 가계대출일 때

  • 가계대출은 대부분 신용·소액대출 포함
  • 단기 + 금리 높음 → DSR 상 불리
  • 예: 1억 / 금리 7% / 3년 → 연 상환액 약 3,800만 원
  • 연소득 최소 9,500만 원 이상 필요

💡 주택담보대출일 때

  • 금리 낮음 / 기간 김
  • 예: 금리 4%, 30년 → 1억 빌릴 경우 연 상환액 약 580만 원
  • 연소득 1,450만 원 이상이면 OK
  • 즉, 주담대는 DSR에 가장 유리

📌 실제 DSR 계산 예시

대출종류 금리 상환방식 대출금 1억일 때
연 상환액
필요한 최소 연소득
(DSR 40%)
신용대출 6% 5년 균등상환 약 2,376만 원 약 5,940만 원 이상
전세대출 4% 2년 일시상환 약 400만 원 약 1,000만 원 이상
가계대출 7% 3년 균등상환 약 3,800만 원 약 9,500만 원 이상
주택담보대출 4% 30년 균등상환 약 580만 원 약 1,450만 원 이상

 

✅ DSR 규제 요약 (2025 기준)

  • DSR 1단계: 투기과열지구 6억 이상 주택 구입 시 40% 적용
  • DSR 2단계: 총 대출액이 2억 원 이상이면 DSR 적용
  • DSR 3단계: 총 대출 1억 원 초과 시에도 DSR 적용 → 소득이 낮을수록 대출 한도도 줄어듬

⚠️ 유의사항

  • 금융사마다 계산 방식이 조금 다름
  • 금리가 오르면 대출한도 자동 감소
  • DSR 적용 대출은 모든 대출 합산함 (예: 학자금 + 자동차 할부 포함)

 

✅ 계산 잘해 보기

  • 주택담보대출은 장기+저금리라 1억 대출이 가장 쉬움
  • 신용대출은 소득이 꽤 높아야 1억 가능
  • 전세대출은 일시상환이면 매우 유리하지만, 조건 확인 필요
  • 정확한 대출 가능 금액은 은행 DSR 계산기 활용 추천

 

금융위원회 스트레스 DSR보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