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타] 주식 차트 종류 의미 공부 + 차트종류 / 차트분석 / 주요차트

주식차트 많기도 하다.



주식 차트 종류 의미 공부 + 차트종류 / 차트분석 / 주요차트

라인 차트 (Line Chart)
바 차트 (Bar Chart)
캔들스틱 차트 (Candlestick Chart)
점과 도형 차트 (Point and Figure Chart)
Kagi 차트 (Kagi Chart)
평균선 차트 (Moving Average Chart)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선형 회귀 차트 (Linear Regression Chart)
거래량 차트 (Volume Chart)



Renko 차트
히카시 차트 (Heikin-Ashi Chart)
영역 차트 (Area Chart)
평균 차트 (Mean Chart)
지수 평활 차트 (Exponential Smoothing Chart)
세선 봉 차트 (Three Line Break Chart)
평행 이동 차트 (Parallel Channel Chart)
이동평균 오실레이터 (Moving Average Oscillator)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Stochastic Oscillator)
상대 강도 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매물대 지수 (On-Balance Volume, OBV)



주식 차트가 보여 주는 지표

캔들스틱 차트 (Candlestick Chart): 가격 움직임을 표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차트로, 각 캔들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동평균선 차트 (Moving Average Chart): 가격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그리는 차트로,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을 함께 사용하여 트렌드를 확인합니다.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나타내는 지표로, 매매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Stochastic Oscillator):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분석하는 지표로, 매수 및 매도 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주가의 변동성과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차트로, 이동평균선 주위에 상한선과 하한선을 그립니다.

일목균형표 (Ichimoku Cloud): 일본에서 개발된 종합적인 분석 도구로, 추세, 지지 및 저항 수준, 효율적인 매매 시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볼륨 차트 (Volume Chart): 거래량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가격 움직임의 강도와 추세를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추세를 파악하고 상승 및 하락 신호를 제공하는 지표로,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과 차이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표현합니다.

평균 참고 범위 (Average True Range, ATR): 주가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주가 움직임의 평균 범위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선형 회귀 차트 (Linear Regression Chart): 가격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세선을 그리고, 추세의 방향과 기울기를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볼린저 밴드 %B (Bollinger Band %B): 볼린저 밴드와 함께 사용되는 지표로,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하여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분석합니다.

거래량 프로파일 차트 (Volume Profile Chart): 거래량의 분포를 수직 막대 그래프로 표현하여 특정 가격 수준에서의 거래 활동을 분석합니다.

가격 및 거래량 차트 (Price and Volume Chart): 가격 차트와 거래량 차트를 함께 표시하여 가격 움직임과 거래량의 관계를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일변량 분석 차트 (Univariate Analysis Chart): 하나의 변수에 대한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차트로, 히스토그램, 상자그림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분포와 이상치를 파악합니다.

다변량 분석 차트 (Multivariate Analysis Chart): 두 개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트로, 산점도, 히트맵, 버블 차트 등을 활용합니다.

피벗 포인트 (Pivot Points): 고가, 저가, 종가 등을 이용하여 다음 거래일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계산하는 차트 기법입니다.

평균 방향 지수 (Average Directional Index, ADX):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분석하는 지표로, 추세가 강하고 약한지를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영역 차트 (Area Chart): 선 그래프 아래를 색칠하여 영역으로 표현한 차트로, 데이터의 추이와 분포를 파악할 때 사용됩니다.

이격도 (Divergence): 주가와 기술적 지표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여 매수 및 매도 신호를 파악하는 차트 기법입니다.

프로파일 차트 (Profile Chart): 가격 데이터를 수직으로 나열하여 거래 활동의 분포와 부피를 시각화하는 차트입니다.

파레토 차트 (Pareto Chart): 주어진 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원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차트로, 막대 그래프와 라인 그래프를 결합하여 사용합니다.

포인트 변화 차트 (Point and Figure Chart): 주가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트로, 특정 가격 변동을 기준으로 점과 상자를 그립니다.

고유주식 차트 (EquiVolume Chart): 거래량을 기반으로 주가 변동을 표현하는 차트로, 거래량이 높을 때 막대 그래프의 두께가 증가합니다.




가격 및 거래량 추세 차트 (Price and Volume Trend, PVT): 주가와 거래량의 관계를 표시하여 강세 및 약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차트입니다.

폴라 차트 (Polar Chart): 원형 그래프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차트로, 각도와 반지름을 사용하여 다차원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시간-판별 차트 (Time and Sales Chart): 시장에서 실시간으로 거래가 발생하는 시간과 거래량을 기록하는 차트입니다. 거래의 시간 및 가격 정보를 제공하여 거래 동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심리 차트 (Investor Sentiment Chart): 투자자들의 감정이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차트로, 주식 시장의 투자자들이 보유한 관심과 견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히스토그램 차트 (Histogram Chart): 데이터의 분포를 막대 그래프로 표현하는 차트입니다. 주로 가격 변동의 분포를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평균 차트 (Mean Chart): 데이터의 평균 값을 포함하는 차트로, 시계열 데이터의 중심 경향을 시각화합니다.

변동성 차트 (Volatility Chart): 가격 변동성을 표현하는 차트로, 주가의 변동성을 시각화하여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추세선 차트 (Trendline Chart): 주가 등의 시계열 데이터에서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트로, 주가 움직임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선을 그립니다.

평행 이동 차트 (Parallel Channel Chart):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하는 차트로, 추세의 경계를 시각화합니다.

상대 강도 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나타내는 지표로, 매매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추세를 파악하고 상승 및 하락 신호를 제공하는 지표로,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과 차이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표현합니다.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주가의 변동성과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차트로, 이동평균선 주위에 상한선과 하한선을 그립니다.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 (Fibonacci Retracement): 주가의 추세와 조정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피보나치 수열과 비율을 사용하여 차트에 수평선을 그립니다.

평균 참고 범위 (Average True Range, ATR): 주가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주가 움직임의 평균 범위를 계산하여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세선 봉 차트 (Three Line Break Chart): 가격 움직임에 따라 막대를 그리는 대신, 일정한 가격 움직임이 발생할 때마다 차트에 봉을 추가하여 주가 추세를 나타냅니다.

지수 이동 평균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최신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평균을 계산하는 지표로, 가격 움직임을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지수 혼합 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Chart): 최신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로, 이동 평균을 계산합니다.

기술적 분석 지표 차트 (Technical Indicators Chart): 이동평균선, 상대강도지수, 스토캐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적 분석 지표를 차트에 표시하여 주가 동향을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볼린저 밴드 너비 차트 (Bollinger Band Width Chart): 볼린저 밴드의 너비를 표시하여 주가의 변동성 변화를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투자자 플로 차트 (Investor Flow Chart): 주식의 순매수/순매도 비율을 시각화하여 투자자들의 흐름을 파악하는 차트입니다.

도형 차트 (Pattern Chart): 주가 동향에서 발생하는 도형 패턴을 분석하는 차트로, 이러한 패턴을 통해 향후 주가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스쿼즈 (Bollinger Band Squeeze): 볼린저 밴드의 수축과 확장을 표시하여 주가가 형성하는 압력을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시간-가격 차트 (Time-Price Chart): 시간을 x축으로 하고 가격을 y축으로 하는 차트로, 가격의 움직임을 시간과 함께 표시합니다.

칸 차트 (Renko Chart): 가격 움직임에 따라 일정한 가격 변동 단위로 막대를 그려 추세를 파악하는 차트입니다.

역매매 차트 (Reverse Chart): 가격 데이터를 거꾸로 표시하여 역방향으로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상대 도수 차트 (Relative Frequency Chart): 주가의 특정 구간별 빈도를 표시하여 분포를 파악하는 차트입니다.





스윙 차트 (Swing Chart): 주가의 상승과 하락 구간을 파악하여 추세를 분석하는 차트입니다.


주식 차트보다 중요한건 경험

공부 + 경험이 되어야 = 노력과 시간이 되어야 쫌 하겠죠.


그러나 더 중요한 건 주시 정보와 주가 선견지명

차트는 차트일뿐 시간이 지나며 기존 것은 의미없고 새로운 것이 생기고
어쩌고 저쩌고 아이고 다 의미 없음.



다음 이전